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2023년 청년도약계좌 가입방법 및 신청방법 총정리

by 성공은7 2023. 9. 10.
반응형

청년도약계좌 가입방법과 신청방법들을 정리하여 알아보도록 하자

 

청년도약계좌는 청년이 내는 돈과 정부가 지원하는 돈을 합쳐 다달이 최대 70만 원(최대 월 40만 원 정부지원)씩 연리 3.5%로 저축해 5년 후 5천만 원을 가져갈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5천만 원 만들기 통장이며, 소득이 낮을수록, 청년의 납입액이 많을수록 정부 지원액이 늘어나도록 설계된 5천만 원 만들기 정책금융상품입니다.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 계좌신청 개요

 

2023년 예산안에 정식 도입된 청년도약계좌는 자산가격 상승 등으로 생활 주거 안정에 어려움을 겪는 청년의 중장기 자산형성을 돕기 위해 정부가 마련한 상품이다. 청년이 월 40만~70만 원을 납입하면 최대(40만 원의 6%)를 매칭해 지원하고, 이자소득 등엔 비과세 혜택을 제공합니다.

 

예컨대 앞서 알려진 바에 따르면 연소득 2400만 원 이하인 청년이 월 40만 원을 납입하면 정부로부터 매월 최대 40만 원을 지원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됐지만, 이 지원금만 단순 계산했을 땐 정부에서 주는 기여금이 매월 2만 4,000원으로 대폭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이 경우 가입자가 매월 70만 원씩 납입했을 때 은행별로 추후 제공할 금리 수준 등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5년 만기 시엔 5000만 원에 가까운 목돈을 마련하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가입대상 및 자격요건

 

가입 대상은 만 19세부터 만 34세 청년 중, 개인소득 요건과 가구소득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청년이다. 다만, 소득이 없거나 국세청에서 소득금액 증명이 불가능한 경우 가입할 수 없다. 또한 내국인뿐만 아니라 외국인도 가입 가능합니다.

 

가입 기간은 2023년 6월 15일부터 2025년 12월 31일까지 약 2년 반이며 2023년 6월 15일부터 시작되는 가입 기간 기준, 직전 과세기간은 2022년 1월~12월이다. 단, 해당 기간 소득이 확정되는 시기가 가입 시작보다 늦으므로, 확정 이전에는 전전 연도(2021년 1월~12월) 소득을 기준으로 한다. 또한, 1년을 주기로 현행화하여 기여금 지급 여부와 규모가 조정됩니다.

 

청년도약계좌

 

기여금 지급구조

 

기본적으로는 월 70만 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 가능한 만기 5년 적금상품이라고 생각하면 쉽다. 납입이 의무는 아니다. 여기서 개인소득 수준과 납입한 금액에 따라 정부기여금이 매칭 지원되며 이자소득에 비과세 혜택이 제공됩니다.

소득 별로 매칭비율이 다른 이유는 소득이 적은 경우 납입 금액을 높이기 어렵기 때문에 적은 금액으로도 기여금을 더 많이 주기 위한 것이다. 다만, 기여금 지급한도를 넘은 금액의 경우에는 기여금이 지급되지 않는다.

 

중도해지의 경우 원칙적으로는 정부기여금과 비과세 혜택을 부여하지 않으나, 특별중도해지 사유로 인해 중도해지할 경우 정부기여금과 비과세 혜택 모두 적용된다. 그 외의 일반중도해지의 경우 해지 후 2개월 경과 후 재가입이 가능하며, 기여금은 중도해지 전 가입기간에 따라 차감됩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 가능한 은행

 

NH농협은행

청년도약 계좌신청 바로가기

 

신한 은행

청년도약 계좌신청 바로가기

 

하나 은행

 

청년도약 계좌신청 바로가기

 

KB 국민은행

 

청년도약 계좌신청 바로가기

 

우리 은행

 

청년도약 계좌신청 바로가기

 

총평

 

저축자의 입장에서는 정부지원 적금이라서 가입할 수 있다면 가입은 할 수 있지만 2023년 6월 첫 출시 이후의 평으로는 중도 해지에 대한 보완사항이 초기엔 없었는데도 60개월의 장기간을 내세워 흥행 실패 요소가 되었고, 금리가 횡보하거나 내려가리라 예측된 시점에서 생긴 상품이라 3년 뒤 적금금리가 하락하는 리스크가 부담된다. 그리고 언론에서는 많이 가입했다고 홍보하지만, 청년희망적금과의 차별화 실패 및 가입자수가 5배나 차이 난다는 문제로 아직까지는 흥행에 성공했다고 보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